심혈관 질환

원칙을 지키는 사계절내과, 정직한 진료를 약속드립니다.

FOUR SEASONS INTERNAL MEDICINE 심장과 주요 동맥에 발생하는 질환

심혈관 질환


심장 구조를 심장 근육, 심장 혈관, 판막, 심장 전기 신호를 담당하는 전도계로 나눌 수 있듯이 심장병도 각 부위에 생기는 질환들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주요 혈관계 질환은 대동맥, 허파동맥, 목동맥, 뇌혈관, 신장동맥, 하지 동맥 등 주요 동맥이 막히거나 터지는 출혈이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대표질환


  • 심부전
    심장 구조 또는 기능의 이상으로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이완기능이나 짜내는 수축기능이 감소하여 신체에 필요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관상동맥 질환, 심장판막질환, 심근 질환, 부정맥, 고혈압 등이 원인으로 급성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는 만성질환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 부정맥
    심장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뛰는 질환을 통칭하는 말로 한 가지 질환이 아닌 증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게 되며 심장박동이 정상보다 느리게 뛰는 서맥 부정맥과 빠르게 뛰는 빈맥 부정맥, 불규칙하게 뛰는 심방세동, 급사를 유발할 수 있는 심실성 빈맥 등이 있습니다.
  • 관상동맥 질환(허혈성 심질환)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해서 심장기능을 유지하는 동맥을 ‘관상동맥’ 이라고 합니다.
    죽상동맥 경화증으로 좁아지거나 막혀서 생기는 질환으로 협심증, 심근경색증이 해당합니다.
  • 심장판막질환
    심장에는 여러개의 판막이 열리고 닫힘으로서 심장이 뿜어낸 피가 거꾸로 흐르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심장기능을 유지합니다.

    심장판막에 병이 생겨 잘 열리지 않는 경우를 협착증이라고 하고 잘 닫히지 않는 경우를 폐쇄부전증(역류증)이라고 하는 판막질환을 유발합니다.

치료방법


  • 1
    약물치료와 생활습관 개선(식이요법, 운동요법)을 위한 교육 및 관리
  • 2
    중재술 및 관상동맥우회로 수술치료가 필요한 경우 대학병원 의뢰
  • 3
    심장판막 성형술 및 인공판막치환 수술치료가 필요한 경우 대학병원 의뢰
  • 4
    고주파전극도자절제술, 인공심장박동기 삽입술이 필요한 경우 대학병원 의뢰
  • 5
    시술 및 수술후의 약물치료 및 관리